'적성·흥미'가 아니였네..청소년 직업 선택기준 1위는?

등록일자 2023-11-18 09:13:54
청소년, 직업 고를 때 "연봉이 제일 중요"...10년새 25%→35%
선호하는 직장은 국가기관→대기업...'수입'> '적성·흥미'
▲ 진로 상담 자료 이미지 

대한민국 청소년 10명 중 3.5명은 직업을 선택하는데 최우선 기준으로 '수입'을 꼽았습니다.

직업 선택 요인에서 수입이 차지하는 비중은 10년 새 꾸준히 늘어 '적성·흥미'를 제치고 1위로 올라섰습니다.

18일 통계청의 '2023년 사회조사'에 따르면 13∼19세 청소년 가운데 35.7%가 직업을 고를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이 '수입'이라고 답했습니다.

이어 적성·흥미(30.6%), 안정성(16.0%), 발전성·장래성(4.9%), 명예·명성(4.5%) 순으로 응답 비율이 높았습니다.

10년 전인 2013년에는 적성·흥미가 38.1%로 1위였다. 수입과 안정성은 각 25.5%, 18.6%를 차지했습니다.

적성·흥미는 2017년까지 1위를 유지하다가 2019년 수입에 자리를 내줬습니다.

수입의 비중은 2013년과 올해를 비교하면 10년 만에 10.2%포인트(p) 늘었습니다.

반면 적성·흥미는 7.5%p 줄었다. 안정성과 보람·자아실현도 2.6%p, 3.4%p씩 감소했습니다.

수입이 중요하다고 고른 10대가 느는 동시에 선호하는 직장도 과거 안정성이 뛰어난 공무원에서 대기업으로 바뀌는 양상입니다.

올해 10대(13∼18세)가 선호하는 직장 종류 조사에서는 대기업이 31.4%로 1위를 기록했습니다.

국가기관은 19.2%로 2위를 차지했고 전문직기(11.9%), 공기업(11.3%), 창업 등 자영업(10.8%) 순이었습니다.

2013년에는 국가기관이 29.7%로 1위였습니다.

대기업은 24.2%로 2위였고 공기업(12.7%)이 뒤를 이었습니다.

대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10년 새 7.2%p 늘었고, 국가기관은 10.5%p 축소됐습니다.

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김기헌 청년정책연구실장은 "경제적 여건과 관련이 있다. 경제 상황이 나빠지면 금전적 필요성이 커져 이를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"고 말했습니다.

그러면서 "한국은 노동시장이 이중구조로,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임금 격차가 크다. 이는 대기업 쏠림 현상으로 이어진다"고 했습니다.

공무원 비선호 현상과 관련해서는 "채용 규모에 영향받는다. 최근에는 공무원 정원을 줄이는 쪽으로 가고 있어 공무원이 되기 어려워지니까 줄어드는 것"이라고 분석했습니다.

#청소년#수입#직업#선택기준

댓글

(0)
※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. 0 / 300

추천 기사